2025.09.19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복지

남양주시 별내면, 문화소외계층을 위한 ‘어르신 행복 나들이’ 진행

 

어웨이크뉴스 오경하 기자 | 남양주시 별내면은 지난 30일 가평군 남이섬으로 별내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위원들과 함께 지역 내 취약계층 어르신들을 위한 ‘어르신 행복 나들이’ 행사를 진행했다.

 

에코랜드 주민지원협의체(위원장 이영근)에서 후원하는 이번 행사는 별내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위원들이 어르신들의 안전을 위한 인솔 봉사자로 참여해 진행됐다.

 

어르신들은 전문 가이드의 설명과 함께 ‘연인의 길 - 단풍나무 길 - 잣나무 길- 메타스퀘어 길- 은행나무 길’을 걸으며 가을의 정취를 감상하는 시간을 가졌다.

 

나들이에 참여한 한 어르신은 “그동안 집과 동네에서만 지내다 수년 만에 멀리 까지 나와 단풍 구경도 하고 좋은 공기도 마시며 즐겁고 행복한 시간을 보냈다.”라고 말했다.

 

이제복 위원장은 “어르신들이 나들이를 통해 행복해하는 모습을 보니 뿌듯하다.”라며 “오늘의 따스한 햇살만큼 매일 따스한 일상을 보내셨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김현태 면장은 “행복나들이를 후원해주신 이제복 위원장님과 안전사고를 대비해 어르신들의 손발이 돼주신 별내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위원님 등 봉사자에게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민관협력으로 다양한 지역 복지사업을 추진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별내면 행복나들이는 2012년부터 에코랜드 주민지원협의체 후원과 지역사회기관단체의 참여로 문화소외계층을 위한 별내면 지역특화사업으로 자리를 잡아 매년 추진되고 있다.



최신기사

더보기

정치·경제

더보기
안양시의회 허원구의원, 제3차 추경관련 '안양시, 후회 아닌 희망으로'
▲안양시의원, 허원구 어웨이크뉴스 오경하 기자 | 사람은 마지막 순간, 인생을 돌아보며 세 가지를 후회한다고 한다. 베풀지 못한 것, 참지 못한 것, 그리고 행복하게 살지 못한 것이다. 이 세 가지는 개인의 삶에만 머물지 않는다. 공동체와 도시의 행정에도 똑같이 적용되는 화두다. 우리 안양이 앞으로 어떤 길을 걸어야 할지 되돌아보게 한다. 첫째는 베풀지 못한 것의 후회다. 안양은 수도권의 중심 도시로 발전했지만, 여전히 복지의 손길이 닿지 않는 곳이 있다. 홀로 지내는 어르신, 고립된 청년, 불편한 이동 환경에 놓인 장애인들은 지금 우리가 더 채워야 할 과제다. 예산과 정책이 제때 쓰이지 못한다면 언젠가는 “그때 조금만 더 베풀었더라면” 하는 후회로 돌아올 수밖에 없다. 추경예산은 이런 공백을 메우는 기회가 되어야 하며,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복지와 지원에 더 과감히 배분되어야 한다. 둘째는 참지 못한 것의 후회다. 정책 추진 과정에서 성과를 서두르다 보면 불필요한 갈등이 생기고, 그 갈등은 오히려 행정의 속도를 늦추는 결과를 낳는다. 재개발 현장에서의 갈등, 교통정책을 둘러싼 민원은 조금만 더 기다리고 귀 기울였다면 더 원만하게 풀렸을 일들이다. 행정이

사회

더보기

라이프·문화

더보기
안양시의회 허원구의원, 제3차 추경관련 '안양시, 후회 아닌 희망으로'
▲안양시의원, 허원구 어웨이크뉴스 오경하 기자 | 사람은 마지막 순간, 인생을 돌아보며 세 가지를 후회한다고 한다. 베풀지 못한 것, 참지 못한 것, 그리고 행복하게 살지 못한 것이다. 이 세 가지는 개인의 삶에만 머물지 않는다. 공동체와 도시의 행정에도 똑같이 적용되는 화두다. 우리 안양이 앞으로 어떤 길을 걸어야 할지 되돌아보게 한다. 첫째는 베풀지 못한 것의 후회다. 안양은 수도권의 중심 도시로 발전했지만, 여전히 복지의 손길이 닿지 않는 곳이 있다. 홀로 지내는 어르신, 고립된 청년, 불편한 이동 환경에 놓인 장애인들은 지금 우리가 더 채워야 할 과제다. 예산과 정책이 제때 쓰이지 못한다면 언젠가는 “그때 조금만 더 베풀었더라면” 하는 후회로 돌아올 수밖에 없다. 추경예산은 이런 공백을 메우는 기회가 되어야 하며,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복지와 지원에 더 과감히 배분되어야 한다. 둘째는 참지 못한 것의 후회다. 정책 추진 과정에서 성과를 서두르다 보면 불필요한 갈등이 생기고, 그 갈등은 오히려 행정의 속도를 늦추는 결과를 낳는다. 재개발 현장에서의 갈등, 교통정책을 둘러싼 민원은 조금만 더 기다리고 귀 기울였다면 더 원만하게 풀렸을 일들이다. 행정이

포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