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웨이크뉴스 오경하 기자 | 남양주시는 21일 ㈜빅모빌리티와 전국 최초 ‘소규모 분산형 화물주차장’ 조성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기존 대규모 화물차고지 조성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접근성이 높은 소규모 분산형 주차공간을 통해 화물자동차의 밤샘주차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민관협력 사업이다.
협약의 주요 내용은 △시의 정책 지원과 행정협조 △(주)빅모빌리티의 시설 투자 및 운영으로 구성되며, 공공성과 민간 전문성을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도시 물류 인프라 모델로 추진된다.
기존 대규모 차고지는 부지 매입부터 인허가까지 통상 4년에서 5년이 소요되지만, 분산형 모델은 기존 유휴부지를 토지주와 민간사업자 간 상생협력 계약을 통해 최대 2개월 내로 신속 조성이 가능하다.
또한 대규모 화물차고지 조성비용 300~500억 원 대비 비예산으로 예산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화물차주의 근거리 접근으로 연료비와 시간까지 줄일 수 있다.
현재 화도읍에 1호 지점이 조성 마무리 단계이며, 시는 2025년까지 총 5개소 완공을 목표로 한다. 각 지점은 40~50면 규모로 조성되며, 이를 통해 남양주 전역에 총 200면의 화물차 주차공간이 확보된다.
이번 사업은 화물자동차 주차정책의 흐름을 ‘단속 중심’에서 ‘공급 중심’으로 전환하는 정책적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단속 위주의 기존 대응방식에서 벗어나 실제 수요를 반영한 공급 기반 정책으로 전환함으로써, 임시방편이 아닌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도모하고 있다.
주광덕 시장은 “기존 대규모 화물차고지 건설은 장기간이 소요되고 예산 부담이 큰 비효율적인 구조였다”며 "소규모 분산형 모델인 ‘우리동네 화물주차장’조성 사업은 이를 극복하는 혁신적 대안”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사업은 단속에서 공급으로 전환되는 전국 첫 사례로, 전국 지자체가 벤치마킹할 수 있는 성공모델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시는 이번 ‘우리동네 화물주차장’조성 사업 성과를 바탕으로 수도권 인근 지자체와의 협력을 확대하고, 전국에 적용 가능한 표준모델을 개발해 화물운송 정책의 선도 도시로 자리매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