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9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의회

경기도의회 김호겸 의원, 도내 특수교육지도사 10명 중 6명 ‘부족’

도내 25개 교육지원청 중 15곳 특수교육지도사 부족…“교육 실태 개선 앞장서야”

경기도의회 교육기획위원회 김호겸 의원(국민의힘, 수원5)
▲ 경기도의회 교육기획위원회 김호겸 의원(국민의힘, 수원5)

 

어웨이크뉴스 오경하 기자 | 특수교육의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해 특수교육지도사의 충원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경기도의회 교육기획위원회 김호겸 의원(국민의힘, 수원5)이 19일 도교육청 행정사무감사를 통해 특수교사의 업무 환경 개선 요구와 함께 특수교육지도사의 부족 현상을 지적했다.

 

특수교육지도사는 특수교육 수업과 각종 교육활동을 지원하는 공무직으로 2024년 도내 특수교육지도사는 1,344명이다.

 

특히 도내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 학생수는 24,256명, 교사는 6,463명으로 교사 1인당 3.75명의 학생을 담당하고 있어 적정 수준이다. 그러나 25개 교육지원청별 특수교육지도사 현황을 살펴보면 60%가 부족한 상황이다.

 

김호겸 의원은 “도내 25개 교육지원청 중 15곳에서 특수교육지도사가 부족한 상황”이라며 “특수교육의 여건상 예측 불가능한 상황이 빈번히 발생하며 교사나 지도사들의 어려움이 가중되는 만큼 도교육청에서 특수교육 실태 개선을 위해 앞장서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경기 북부·남부유아체험교육원의 운영 실태에 대해 목소리를 높였다.

 

김 의원에 따르면 경기북부유아체험교육원은 올해 3월 개원 후 반년이 넘은 현재도 임시 홈페이지에 의존하는가 하면 학부모들과 소통할 수 있는 별도 SNS 채널도 운영하지 않고 있다.

 

김호겸 의원은 “홈페이지는 기관의 온라인 대문과 같은 역할을 하지만 250여 억원을 들인 교육원이 개원 반년이 넘어선 현재도 도민들이 방문할 정식 대문이 없다는 것은 개탄스럽다”며 “SNS 역시 소통 수단을 넘어 효과적인 마케팅 도구임에도 이를 활용하지 않음으로써 교육원 스스로 홍보 기회를 놓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난달 개최한 남부유아체험교육원의 개원 20주년 행사 준비 미흡함을 지적하며 “지난 20년을 돌아보고 앞으로의 20년을 향한 새로운 출발의 전환점으로 삼아야 할 자리임에도 불구하고 참석자가 대거 불참하며 기회를 충분히 살리지 못한 것은 아쉽다”고 전했다.



최신기사

더보기
1 / 10

정치·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수원특례시 김준혁 의원, 수원 광교신도시 해모로 아파트 앞 송전철탑 13년만 이전 쾌거
▲(왼쪽 위) 철탑 이설 전 아파트 앞 전경 (왼쪽 아래) 철탑 이설 후 아파트 앞 전경 (오른쪽) 지난해 6월 송전철탑 현장을 방문한 김준혁 국회의원 어웨이크뉴스 오경하 기자 | 수원 광교신도시 해모로 아파트 주민의 숙원사업이던 송전철탑 이전 설치가 13년만에 완료됐다. 더불어민주당 김준혁 국회의원실(수원 정)은 어제(7일) 오후 수원시 영통구 이의동 광교신도시 인근 송전철탑 이설 공사 현장을 방문했다고 밝혔다. 현장에는 한국전력 경기본부 관계자와 지역 주민이 함께 방문해 공사 진행 상황을 점검했다. 이번 송전철탑 이설공사는 광교신도시 해모로 아파트 A4블록(총 466가구) 인근 철탑을 400m 거리로 옮기는 작업이다. 공사 결과 철탑이 3기에서 2기로 하나 줄고, 아파트에서도 잘 보이지 않게 되었다. 지난 2012년 경기주택도시공사(GH)가 철탑 이동을 처음 요청한 지 13년만의 결실이다. 그간 송전철탑 이전은 용인시 주민 반대 민원과 갈등 조정 과정에서 여러 차례 가로막혔다. 한전에서 GH로 시공주체를 변경한 뒤에도 국민권익위 회의와 경기도 갈등관리심의위원회에서 조정이 이뤄지지 않았다. 이후 새로운 시공주체가 된 수원시와 김준혁 국회의원실, 한전 경기본

라이프·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