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8 (토)

  • 구름많음동두천 27.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움직이는 관광서비스로 더 편리하고, 더 특색있게 파주 여행

움직이는 관광안내소·여행택시 운영…이용 편의 높여

 

어웨이크뉴스 오경하 기자 | 파주시는 관광객의 만족도를 높이고 다시 찾고 싶은 관광지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특히, 움직이는 관광안내소와 여행택시가 대표적인 사례다.

 

움직이는 관광안내소는 1톤 트럭을 개조한 관광홍보 차량으로, 주말마다 관광지도, 홍보물을 싣고 다양한 참여형 행사를 진행한다.

 

헤이리예술마을, 임진각관광지, 마장호수를 찾은 관광객들에게 관광지 추천과 안내 역할이 주된 임무로, 올해 총 38회 약 4,000명에게 파주 주요 관광지를 알렸으며, 고양시 관광 정보센터(정발산역)에서 매력적인 파주 관광지를 홍보하기도 했다.

 

뚜벅이 여행자들에게 환영받는 파주여행택시는 대중교통으로 접근하기 어려웠던 관광지까지 편리하게 방문할 수 있는 서비스로, 올 한 해 50회가 운영되어 133명이 탑승했다.

 

▲오두산통일전망대와 임진각 관광지를 방문하는 대표코스 23회 ▲보광사와 마장호수 출렁다리를 방문하는 동남코스 11회 ▲황희선생유적지와 율곡수목원을 방문하는 서북코스 8회 ▲이이유적지와 감악산출렁다리를 방문하는 동북코스 5회 ▲헤이리예술마을과 장단콩웰빙마루를 방문하는 서남코스 3회 운영됐다.

 

한편 시는 내년에 움직이는 관광안내소를 서울로 활동 지역을 넓혀, 다양한 축제 및 행사장을 찾아다닐 계획이다. 여행택시 또한 5대 추가 모집하여 비무장지대(DMZ), 역사문화유적, 생태 자원 등 파주의 매력적인 관광자원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기반을 구축하겠다는 구상이다.

 

김경일 파주시장은 “앞으로도 파주시는 기다리지 않고 찾아가는 관광 서비스를 제공해 관광객들의 만족도를 높여, 스쳐 지나가는 관광지가 아닌 머무는 파주가 될 수 있도록 힘쓰겠다”라고 말했다.



최신기사

더보기
1 / 10

정치·경제

더보기
안산시의회, 27일 297회 정례회 2차 본회의서 한명훈 박은경 현옥순 최찬규 박은정 의원 나서...
어웨이크뉴스 오경하 기자 | 안산시의회가 27일 제297회 제1차 정례회 제2차 본회의를 개최해 시정질문과 5분 자유발언을 실시했다. 시의회는 앞서 지난 2일부터 정례회를 열어 안건 심사 및 행정사무감사를 실시한 가운데 이날 본회의에서 한명훈 박은경, 현옥순 최찬규 박은정 의원이 각각 시정질문과 5분 자유발언에 나서 시정 현안에 대한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시 집행부의 적극적인 대응을 주문했다. 한명훈 의원은 이번 정례회에 재상정된 ‘2025년 수시분 안산시 공유재산관리 계획안’을 주제로 시정질문을 진행했다. 그는 본 질의에 들어가기에 앞서 사동 90블록 개발 과정에서 초등학교 1곳과 고등학교 1곳이 건립되지 못한 것과 90블록 상업 용지 개발이 미흡한 것 등 과거 사례의 문제점을 들었다. 이어 이번 안산시 공유재산관리계획안 재상정 과정에서 의회와 집행부 간의 신뢰가 깨졌고 시민의 실질적 요구도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다는 점을 짚었다. 특히 구 해양과학기술원 부지와 89블록의 경우 공유재산관리계획안에 아파트 건립 중심의 계획만 담겼고 의회가 요구했던 학교용지 부족과 생활 기반시설 미흡, 주민 의견 미반영

사회

더보기

라이프·문화

더보기
안산시의회, 27일 297회 정례회 2차 본회의서 한명훈 박은경 현옥순 최찬규 박은정 의원 나서...
어웨이크뉴스 오경하 기자 | 안산시의회가 27일 제297회 제1차 정례회 제2차 본회의를 개최해 시정질문과 5분 자유발언을 실시했다. 시의회는 앞서 지난 2일부터 정례회를 열어 안건 심사 및 행정사무감사를 실시한 가운데 이날 본회의에서 한명훈 박은경, 현옥순 최찬규 박은정 의원이 각각 시정질문과 5분 자유발언에 나서 시정 현안에 대한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시 집행부의 적극적인 대응을 주문했다. 한명훈 의원은 이번 정례회에 재상정된 ‘2025년 수시분 안산시 공유재산관리 계획안’을 주제로 시정질문을 진행했다. 그는 본 질의에 들어가기에 앞서 사동 90블록 개발 과정에서 초등학교 1곳과 고등학교 1곳이 건립되지 못한 것과 90블록 상업 용지 개발이 미흡한 것 등 과거 사례의 문제점을 들었다. 이어 이번 안산시 공유재산관리계획안 재상정 과정에서 의회와 집행부 간의 신뢰가 깨졌고 시민의 실질적 요구도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다는 점을 짚었다. 특히 구 해양과학기술원 부지와 89블록의 경우 공유재산관리계획안에 아파트 건립 중심의 계획만 담겼고 의회가 요구했던 학교용지 부족과 생활 기반시설 미흡, 주민 의견 미반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