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일 용인특례시장, 용인삼계고서 특강·학부모 간담회

  • 등록 2025.09.10 09:10:32
크게보기

9일 삼계고 2~3학년 학생 500여 명 대상 ‘관찰하고 상상하고 물음을 던져라’ 주제로 강연

 

어웨이크뉴스 오경하 기자 | 이상일 용인특례시장은 9일 오전 용인삼계고등학교 4층 강당에서 '관찰하고 상상하고, 물음을 던져라'라는 주제로 1시간 30분 가량 특강을 했다.

 

이날 강의엔 용인삼계고 2~3학년 학생 500여 명과 학부모 40여 명이 참석했으며, 1학년 학생들은 각 교실에서 방송으로 강연을 시청했다.

 

류용걸 용인삼계고 교장은 "이상일 시장은 우리 학교가 자율형공립고 2.0 학교로 선정되는 데 있어서 큰 역할을 했고, 학생 통학버스 지원, 운동장 밎 도서관 시설 개선 지원 등 학생들을 위한 교육 발전에 특별한 관심을 쏟고 있어서 초대했다"고 말했다.

 

이상일 시장은 강의에 앞서 “학생 여러분은 이 나라와 용인을 더욱 더 발전시켜나갈 미래의 주역”이라며 ”여러분의 상상력은 무궁무진하다. 상상력을 발휘해서 도전하고, 실패하더라도 좌절하지 않고 왜 실패 이유를 탐구하고 보완하면서 다시 도전한다면 여러분이 가진 꿈을 충분히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상일 시장은 강의를 시작하면서 착시 그림인 ‘토끼-오리 비트겐슈타인 도형’을 보여주며 “이 그림은 보기에 따라 오리도 될 수 있고, 토끼도 될 수 있는데 오리로 보면 오리로만 보이고, 토끼로 보면 토끼로만 보인다. 사물에 대한 우리의 인식에 한계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도형인 만큼 다른 사람의 인식이나 생각도 열린 태도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 시장은 “다른 이의 생각이 비록 나와 다르다고 할지라도, 그 생각에 대해 열린 마음으로 받아들이고, 사고를 유연하게 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으로 이 도형을 제시했다”며 “저도 시의 발전이나 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많은 분들의 의견을 열린 마음으로 듣고 검토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라는 생각에서 비트겐슈타인 도형을 종종 떠올린다”고 했다.

 

이상일 시장은 르네 마그리트의 ‘헤라클레이토스의 다리’를 소개하며 “그림에서 실제 다리는 끊겨 있지만, 강물에 비친 다리는 온전하다”며 “실제와 우리가 인식하는 것은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것으로 해석되는 그림으로 다른 사람의 관점·생각을 존중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고 했다.

 

이상일 시장은 피카소의 조각작품 ‘황소머리’를 보여주며 “피카소는 버려진 자전거를 분해한 뒤 핸들과 안장만 가지고 청동을 입힌 조각품을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피카소는 ‘쓰레기도 예술 작품의 재료가 될 수 있다’, ‘상상을 하면 모든 것이 실재가 될 수 있다’고 했다. 비록 버려진 것이라고 하더라도 그것에 기발한 상상력을 입히면 전혀 새로운 것이 탄생할 수 있다는 것을 피카소는 실제로 보여주었다”고 했다.

 

이상일 시장은 16세기 이탈리아 화가 주세페 아르침볼도가 꽃, 풀, 과일, 고목나무 등 자연의 산물로 인물의 모습을 나타낸 '봄', '여름', '가을', '겨울', 역시 자연의 사물로 황제 초상화를 그린 ‘베르툼누스의 모습을 한 루돌프 2세’ 등을 소개하며 강의를 이어갔다.

 

이 시장은 “아르침볼도는 가까이서 보면 정물화, 멀리서 보면 인물화로 보이는 이중그림 기법을 창안한 화가”라며 “아르침볼도가 그린 황제 루돌프 2세의 초상화는 온몸이 채소와 과일로 이뤄졌는 데 이 작품은 풍요로움을 나타냈기 때문에 황제가 좋아했다고 한다”고 전했다.

 

이 시장은 “지금도 기발한 상상력으로 보이는데 16세기 당시로선 더욱 놀라웠을 것”이라며 “아르침볼도의 상상력은 후대 화가들에게 큰 영향을 줬고, 지금도 그의 기법을 이어받은 회화‧사진들이 줄을 잇고 있다”고 했다.

 

이 시장은 살바도르 달리의 대표작 중 하나인 ‘기억의 지속’을 보여주면서 "달리는 여름에 카망베르 치즈가 녹는 모습을 보고 흐물거리는 시계를 그렸다고 하는 데 그의 관찰력, 상상력 또한 감탄할만 하다”고 했다.

 

이상일 시장은 피카소가 외젠 들라크루아의 작품 ‘알제의 연인들’을 같은 제목의 입체주의 작품으로 제작한 그림을 보여주면서 모방과 창조성의 관계도 설명했다.

 

이 시장은 “이 그림은 2015년 경매에서 1억 8000만달러에 근접하는 가격에 팔렸다”며 “다른 화가의 작품을 모방한 작품임에도 매우 비싸게 팔린 것은 피카소의 독특한 화풍인 입체주의로 그려졌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 시장은 이어 마르셀 뒤샹이 1917년 남성 소변기 제품을 사서 사인을 한 뒤 조각작품이라며 내놓은 ‘샘’을 설명한 뒤 “대량생산되는 상품을 사인만 해서 예술작품으로 내놓겠다는 발상을 뒤샹이 처음 했기 때문에 그의 상상력은 인정받았고, 기성제품을 활용해서 예술작품을 만드는 새로운 장르도 생겨났다”고 했다.

 

이상일 시장은 카르타고의 명장 한니발, 스타벅스 CEO 하워드 슐츠, 이순신 장군 등을 예시로 들어 상상력과 관찰력, 리더십에 대한 강의를 이어갔다.

 

이 시장은 “한니발은 카르타고에서 바다를 건너 이탈리아로 가는 대신 스페인에서 알프스를 넘어 로마로 진격했고, 보병 주력의 로마군을 코끼리 부대와 기병으로 제압해 로마를 궁지로 몰았다”며 “한니발은 상대를 철저히 연구해서 상대의 허를 찌르는 전략을 구사했는데 그의 역발상 또한 관찰력, 상상력에서 비롯됐다”고 했다.

 

이 시장은 “하워드 슐츠는 이탈리아에서 사람들이 카페에 앉아 커피를 마시며 정담을 나누는 모습을 보고, 미국에서 이탈리아식으로 카페 운영을 시도했고, 성공했다”며 “슐츠의 관찰력에 바탕한 과감한 도전이 스타벅스 성공의 한 비결”이라고 했다.

 

이 시장은 거북선과 일본 전함인 아타케부네에 대한 비교로 강의를 이어갔다. 이 시장은 “조선 시대 일본 해군의 전술은 상대의 배에 널빤지를 대고 넘어가서 싸우는 것이었다”며 “이순신 장군은 일본의 이 같은 전술과 일본 전함 아타케부네의 약점을 잘 파악해 아타케부네가 가까이 접근해도 왜군이 넘어올 수 없도록 지붕에 못이 달린 거북선을 만들었다”고 했다.

 

이상일 시장은 1948년 윈스터 처칠이 옥스퍼드대 졸업식에서 한 연설을 소개하며 절대 포기하지 말 것을 강조했다.

 

이 시장은 “제2차 세계대전을 승리로 이끈 처칠은 옥스퍼드대 졸업식에서 축사를 하면서 ‘절대 포기하지 말라(Never give up)’, ‘절대, 절대, 절대, 절대, 절대, 절대 포기하지 말라(Never, never, never, never, never never give up)’고 단 두 마디를 하고 내려왔는 데 30분 동안 기립박수를 받았다고 한다”며 “여러분이 성장하면서 뜻대로 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지만, 잘 안됐다고 해서, 실패했다고 해서 주저앉을 이유가 없다. 포기하지 않고 계속 도전하면 성취할 수 있을 것이고, 그것이 여러분의 발전, 용인의 발전, 국가의 발전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시장은 “남극 바다의 펭귄들이 바다표범 등 포식자 때문에 바다에 뛰어들기를 주저할 때 가정 먼저 뛰어드는 펭귄을 보고 다른 펭귄들도 바다에 뛰어든다고 한다”며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과감하게 도전하는 사람을 '더 퍼스트펭귄'이라고 하는 데 여러분이 그런 사람이 되길 바라며 관찰력과 상상력을 잘 발휘하면서 꿈을 가꾸고 실현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기 바란다”고 했다.

 

특강 후엔 학생들과 질의응답이 이어졌다. 한 학생은 “시 지원 덕분에 통학버스 사업으로 등하교에 어려움을 겪는 많은 학생이 도움을 받고 있어 감사드린다”며 “열악한 통학환경을 개선해주고 있는 통학버스 사업 단절되지 않도록 시의 계속적 지원과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시장은 “용인삼계고 앞의 대중교통망은 좀 미흡한 편이어서 시가 통학지원을 하고 있는 데 지원이 지속될 수 있도록 예산을 챙기겠다”고 답변했다.

 

이상일 시장은 특강 후 삼계고 도서관에서 학부모 40여 명과 간담회를 열고 학교와 지역 현안을 논의했다.

 

학부모들은 이날 삼계고 앞 사거리 과속단속카메라 설치·교통 개선, 통학버스 지속 지원, 포곡중부터 삼계고까지 경안천변·제방도로 제초·정비 등을 요청했다. 이 시장은 학교 주변 제방도로 정비는 추석 전까지 끝내도록 할 것이며, 학교 앞 과속단속카메라 설치 문제와 관련해서는 관할 경찰서와의 협의를 진행하겠다고 했다.

오경하 기자 oh9868@hanmail.net
Copyright awakenews. All rights reserved.





어웨이크뉴스 주소 : 서울특별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B동 1601호(457),가산동 대성디플러스지식산업센터 등록번호: 서울,아54180 | 등록일 : 2022.03.16 | 발행인 : 오경하 ㅣ 편집인 : 오경하 | 전화번호 : 010-3066-9868 ㅣ 고문변호사 : 이용운 (법무법인 민) T:02-678-0154 Copyright awakenews. All rights reserved.